'내리막길 홈쇼핑' 1년 만에 반전…고마진 전략에 흑자 대폭 확대
주요 4사 영업이익 증가율 모두 '플러스' 돌아서
매출 대신 수익성 선택…"고마진 상품 확대 유지"
- 문창석 기자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부진에 빠졌던 TV 홈쇼핑 업계가 지난해 영업이익 규모를 크게 키우면서 1년 만에 반전된 모습을 보였다. 매출에는 기여하지만 마진율이 낮은 상품을 대폭 축소하고 고마진 상품을 확대한 결과로 풀이된다.
업계는 앞으로도 TV 시청자 이탈 및 소비 침체 등 구조적 문제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이 같은 '수익성 우선' 전략에 집중할 전망이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832억 원으로 전년보다 20.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매출은 1조4514억 원으로 8.5% 늘었다.
앞서 실적을 발표한 현대홈쇼핑과 롯데홈쇼핑도 지난해 618억 원과 498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37.7%, 503.4% 증가했다. GS샵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4% 감소했지만 1071억 원을 기록해 주요 TV홈쇼핑 4개 회사 중 제일 많았다.
이는 영업이익이 모두 내리막길을 걸었던 1년 전과 비교하면 정반대다. 주요 4개 회사 모두 2023년 연간 기준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모두 감소한 바 있다.
전년 대비 2023년 영업이익 감소율은 △CJ온스타일 -4.1% △GS샵 -17.3% △현대홈쇼핑 -60.2% △롯데홈쇼핑 -89.4%였다.
홈쇼핑 업계의 상황이 1년 만에 반전된 이유는 수익성 중심의 고마진 전략이 맞아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기존에는 시장 확대를 위해 상품 포트폴리오를 늘리고 마진이 적은 상품도 취급했지만, 업황 부진이 이어지자 포트폴리오를 과감히 축소하고 패션·뷰티·건강식품 등 고마진 상품 판매에 집중한 것이다.
실제로 현대홈쇼핑은 지난해 가전·렌탈 등 매출에는 기여하지만 마진율은 낮은 상품군을 대폭 축소하고 고마진 상품군을 확대했다. 그 결과 취급고 매출은 전년 대비 5.3% 감소했지만, 매출총이익률이 개선되고 비용 효율화에 따른 판매관리비가 절감되면서 연간 영업이익은 37.7% 늘었다.
롯데홈쇼핑도 지난해 상조·렌탈 등 저마진 무형 상품을 축소하고 패션·뷰티 등 고이익 상품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상품 포트폴리오를 조정했다. 여기에 △단독 패션 브랜드 신상품의 판매 호조 △4060 중장년층 타깃 마케팅 확대 △판매관리비 절감을 통한 비용 효율화 등도 영업이익 개선에 도움이 됐다.
CJ온스타일은 TV에서 나와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MLC)라는 돌파구를 찾았다. CJ온스타일의 지난해 MLC 거래액은 32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5.5% 증가했다. MLC 거래액은 △2022년 1393억 원 △2023년 1653억 원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지난해 급격히 뛴 것이다. MLC이 강화되자 TV와 e커머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효과도 봤다.
올해 홈쇼핑 업체들은 이 같은 전략을 이어갈 방침이다. CJ온스타일은 상품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MLC 경쟁력을 기반으로 대형 IP를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모바일-TV 채널 통합형 영상 콘텐츠 IP를 늘리고, 티빙·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등 외부 동영상 플랫폼으로 확장할 대형 IP를 육성해 성장을 가속하겠다는 것이다.
롯데홈쇼핑도 고이익 상품 중심의 상품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단독 상품을 TV홈쇼핑·라이브커머스·SNS 등 다양한 채널에서 선보이며 채널간 통합 시너지를 강화하는 '멀티채널 상품 프로바이더' 전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여기에 △해외 라이브 방송 △해외 브랜드 유통사업 △캐릭터IP 수익화 확대 등 신사업도 추진한다.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TV 시청률 감소로 인한 소비자 이탈과 소비 침체 등 구조적 문제가 지속될 것"이라며 "매출 같은 외형 확대보다는 고마진 상품 확대 등 수익성 우선 전략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themoon@e0dp.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