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존

"지역주도 경제 활성화 필요"…지역 中企 정책 체계화 방안 논의

중기부, '지역혁신 라운드테이블' 개최
민간 전문가, 연구기관, 유관기관 등 지역혁신 주체 참여

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 제공) ⓒ News1 DB

(서울=뉴스1) 이재상 기자 = 정부가 지역 중소기업 정책을 체계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함께 13일 스페이스웨어 서울역센터에서 '지역혁신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초부터 '지역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 학계 전문가와 혁신적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로 △지역거점별 신산업 기반의 AI 제조혁신 공급망 구축 △미래산업 대응 및 지속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정책 방향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복합적 구조 변화 속에서 지역의 자생력 확보와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회의는 총 2건의 발제를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이후 종합토론을 통해 지역 현장 중심의 다양한 정책 제언이 이어졌다.

정종석 GIP 전략연구소 소장은 첫 발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제력 및 혁신역량 격차가 지속 확대돼 지방소멸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거점별 신산업 기반의 AI 제조혁신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 소장은 이어 "국가정책의 초격차‧전략산업과 연계된 지역의 10대 미래 먹거리 산업에 속하는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은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AI 기술과 10대 미래 먹거리 산업 간 융합을 통한 혁신제조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약 3만개의 지역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는 김상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지역중소기업혁신팀 팀장이 '미래산업대응과 지역 지속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팀장은 "지역 중소기업은 지역 고용의 중심이며, 산업 생태계 유지와 균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한 뒤 "지방정부, 대학, 혁신기관 간의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 주도의 자립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역의 혁신 역량 저하와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앵커기업 육성을 위해 중기부 주도의 기업 성장 중심 정책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면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역 중소기업의 R&D 역량 강화와 범부처 연계를 위한 정책 네트워크 확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참석자들은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경제 성장의 토대는 지역 경제의 회복에 있으며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나아가 AI,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바이오 등 미래 신산업과 지역 중소기업 간 연계 전략의 중요성도 논의했다.

노용석 중소기업정책실장은 "이번 라운드 테이블은 AI 도입, 디지털전환 등 급변하는 대외 환경변화와 지역 특성과 산업 기반을 반영한 실질적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지역균형발전과 지역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후속 정책 설계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기부는 앞으로도 민간전문가 참여의 라운드테이블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지역현장의 정책 수요와 아이디어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지역 주도의 중소·벤처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alexei@e0dp.shop

쿨카지노 모모벳 지니카지노 라이징슬롯 티파티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