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 통과' 전남대병원 새 병원 '7000억 자체 예산' 조달 어떻게
과도한 자부담 수익중심 운영 전환·공공의료 위축 우려
의정갈등에 1000억 적자…정부 지원 25%→50% 상향해야
- 최성국 기자
(광주=뉴스1) 최성국 기자 = '전남대학교병원 미래형 뉴스마트병원 신축사업'이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가운데 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정부의 국고 지원이 선결과제로 꼽히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30일 제4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열어 전남대병원 새 병원 건립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남대병원 새병원 건립은 오는 2034년까지 9629억 원의 예산을 투입, 전남의대 학동캠퍼스와 전남대 간호대학 부지 등에 22만㎡ 부지에 병원을 신축해 1070병상을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노후화된 건물을 신축해 주요 진료기능과 수술실, 권역응급센터 등 병원 대부분의 기능을 이전하고, 첨단 교육·연구시설 등의 기능을 새로 담는 계획이다.
특히 병원 전반에 ICT 기반이 탑재되는 '미래 병원 모델'을 목표로 한다. 중환자실 통합상황실 구축, 원격중환자실 시스템, 실시간 위치정보 시스템 등 다양한 의료 IT 기술이 도입된다.
부족한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해 응급실과 중환자실이 대폭 확충되며 조기암진료센터, AI를 접목한 혁신적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AI-바이오 융합 메디컬클러스터도 구축된다.
24시간 혈전제거술 지원시스템을 비롯해 심혈관·뇌졸중·호흡기·응급외상·장기이식 등 5대 분야가 집중 육성된다.
문제는 병원 건립 예산이다.
예타 통과로 현행 교육부 국립대학병원 국고지원 기준에 따라 총사업비의 25%만 지원 받는다. 나머지 75%인 7221억 원은 자부담해야 한다.
7000억 원이 넘는 과도한 자부담은 병원을 수익중심 운영으로 전환시켜 결국 지역의료 접근성 저하와 공공의료의 위축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의정 갈등' 사태로 인해 1년 적자가 1000억 원을 넘긴 상황에 병원 경영 안정성이 저해될 경우 신축 사업의 지연과 중단으로 이어져 의료공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국립대학병원은 교육·연구 기능을 포함해 지역 필수의료와 공공의료 최후 보루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만큼, 국고지원 비율을 기존 25%에서 최소 50% 수준까지 대폭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정신 전남대병원장은 "정부에서도 지역의료·필수의료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는 만큼 국고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지역민들의 성원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stare@e0dp.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